[의학신문, 메드월드] 한‧중‧일 장기기증 협력체계 구축 경계해야

사무국
2023-03-14


의학신문 뉴스 보기

메드월드 뉴스 보기

의학일보 뉴스 보기


3국 연대 중국 장기이식 수익사업 ‘의료 일대일로’ 전략에 불과

KAEOT 등 국내외 NGO “강제 장기적출 범죄국과 연대는 수치”


[의학신문·일간보사=이상만 기자] 최근 한·중·일 간 장기기증 정보를 공유하는 연합체를 추진하는 움직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한국장기기증협회와 부산시가 공동주최한 ‘제1회 한·중·일 아시아 장기기증 국제 심포지엄’에 각국 관계자가 참가해 한국·중국·일본 사이의 효율적인 장기기증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했다.


주최 측은 유럽의 국가 간 장기이식 공조 체계인 ‘유로트랜스플랜트’(ET)와 미국 장기공유연합네트워크(UNOS)를 모델로, 지리적으로 인접한 한국과 중국, 일본이 장기 공여자 정보를 공유해 제트기 등을 통해 장기를 수송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국내외에서 중국과 연대한 이와 같은 움직임이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일대일로’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마 루린 중국 베이징대 부속3병원 비뇨기센터장의 불법 이식 수술 연루 혐의에 대한 조사자료<WOIPFG 제공>


‘의료 일대일로’를 경계하라


미국 의사단체 다포(DAFOH)는 ‘중국 국가정보법과 헬스 실크로드 전략을 경계하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장기 이식을 위해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린 서방의 일부 환자들에게 중국과 관련된 장기 브로커가 접촉한 사례가 있다고 전했다. 또 이에 앞서 중국 정부가 2017년 입법한 국가정보법을 통해 해외에 있는 중국 개인, 조직, 기관들이 중국 공안부를 지원해 정보 수집 작업에 참여하도록 독려한 사실을 공개했다.


다포는 중국이 광범위한 해외 정보 수집 활동을 통해 얻은 정보를 토대로 중국 의료계의 최대 수익사업 중의 하나인 외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 이식을 확산시키는 '의료 일대일로 전략(Silk Road of Health Initiative)'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다포는 ‘의료 일대일로’ 전략이 ‘해외 원정 장기이식’이라는 부정적 의미의 용어를 ‘장기 교환 플랫폼’으로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면서, 중국이 장기이식 산업을 해외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얻을 것 없는 중국이 연대 제안한 이유”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KAEOT)는 3국의 장기 기증 통계를 분석해 각국의 입장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의 장기기증자 수는 2021년 4,478명으로 2019년 4,469명, 2020년 4,443명에서 답보 상태이다. 일본의 장기기증자 수는 2020년 기준으로 인구 100만 명당 0.61 명으로 한국(9.22 명)이나 미국(38.03 명)보다 현저히 낮다.


한국과 일본은 장기 기증자 수가 턱없이 부족해 적합한 장기를 이식받기 위해서 대부분 수년간 대기해야 하는 상황에서, 3국이 장기 기증자를 공유하더라도 한국과 일본이 중국 측에 장기를 제공할 가능성은 없다고 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 환자들이 꾸준히 중국을 방문해 건당 수억 원을 지불하고 비밀리에 불법 이식 수술을 받아온 것도 이 때문이다.


중국 당국은 2020년 중국의 장기기증자 수는 100만 명당 3.63 명으로 등록 장기 기증자 수가 478만 명이라고 공개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속해 중국의 통계가 조작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이 양심수의 장기를 강제로 적출해 이식 수술에 활용하는 실상을 은폐하기 위해 장기 기증자 수를 부풀리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2000년부터 활발하게 해외 환자를 유치해 장기 이식 수술을 하고 있다. 1999년 150개에 불과하던 장기 이식 병원은 7년 만에 600여 개로 늘어났고 대규모 증축 공사를 진행했다. 대만과 일본, 한국, 중동에서 몰려온 이식 환자가 줄을 이었다.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도 장기 이식을 받기 위해 평균적으로 수년 이상을 대기하는 것에 비해, 중국에서는 빠르면 하루 안에도 장기를 이식받을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장기 기증자 수는 장기 이식 산업이 호황을 누리던 2003년부터 2009년까지 6년간 단 130건에 불과했다. 또 다른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0년 3월부터 2013년 7월까지 40개월 동안 기증자 수는 2,400건, 2013년 공식적인 장기 기증 시스템을 도입한 이후에도 2014년 2,948건에 불과했다. 매년 10만 건 이상의 장기 이식 수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과 비교하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장기 출처에 대한 힌트는 곧 포착됐다. 2006년 중국에서 당국의 탄압을 받는 파룬궁 수련자의 장기를 강제로 적출해 공급하고 있다는 제보와 정황 증거가 공개됐고, 캐나다 국무장관을 역임한 데이비드 킬고어를 중심으로 한 국제 조사단은 중국 전역의 병원과 관련기관을 조사해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중국에서 파룬궁 수련자 및 위구르인, 티베트인을 대상으로 한 강제 장기적출이 국가 주도로 이뤄지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후 미국과 유럽연합 등에서는 중국 당국의 강제 장기적출을 비난하는 결의안과 법안 등이 꾸준히 이어졌다.


KAEOT는 만약 중국의 장기를 한국과 일본이 공급받을 수 있다고 해도, 자발적인 기증을 아닌 강제 장기적출 등 범죄에 의해 확보한 장기일 가능성이 농후하며 건당 수억 원 이상의 이익을 거두던 중국이 무상으로 장기를 제공할 가능성 또한 전무하다고 분석했다.


국제의료계도 중국 보이콧


지난해 6월 22일, 국제심장 및 폐이식협회(ISHLT)는 '국제사회의 심장 및 폐 이식 윤리에 대한 성명서'를 통해, “중국인민공화국이 지속해 사형된 수감자의 장기 또는 조직 조달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는 증거에 바탕으로 하여”, “사형수들에게서 적출된 장기의 이식 및 판매에 가담하거나, 지지해서는 안 된다”라고 천명했다. 중국의 장기 기증 및 이식 시스템을 전면으로 부정하면서 중국의 관련 논문의 투고도 허락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KAEOT 관계자는 “강제 장기적출로 확보한 장기로 이식 사업을 벌이고 있는 중국과 연대하여 장기기증 연합체를 결성한다는 것은 범죄 행위에 연루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숭고한 희생정신으로 장기를 기증한 한국의 기증자들에게도 면목이 없는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전화 070-4175-2213  | 이메일 kaeot@naver.com 


사단법인 한국장기이식윤리협회 KAEOT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117, 1127호(다동, 동아빌딩)

Copyright © 2022 Korea Association for Ethical Organ Transplants. All Rights Reserved.